10월 24, 2022
2022년 캄보디아 주간(10.1-10.7) 경제 동향
[경제/사회]
■. 훈 마넷 장군, 캄 정부의 ‘외국인직접투자’ 유치 확대 노력 강조
ㅇ 훈 마넷 장군은 10.3(월) 공개행사* 연설에서 “캄보디아는 지난 20년간 정치적 안정과 높은 경제 성장에 힘입어 역내에서 가장 매력적인 투자국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캄보디아 정부가 수출 및 외국인직접투자(FDI) 유치를 위한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해 왔다”고 강조함.
* 스와이리응주 Bavet시 소재 경제특구 내 8천만 달러 규모의 장갑제조공장(RMKH Glove) 준공식
(Phnom Penh Post 10/3, 6면)
■. 캄 내무부 불법 도박 단속, 약 90% 영업 정지
ㅇ 캄 내무부는 9.15부터 전국적으로 실시한 불법도박 단속에서 9천개 이상의 불법도박장(온라인 포함)을 단속하고 13,000명(외국인 1,000여명 포함)을 체포했다고 발표함.
– 속 팔 내무부 차관 겸 불법도박단속 위원회 위원장은 금번 단속을 통해 불법도박 활동 약 90%에 대한 영업 정지 조치가 이행되었다고 하고, 관련 범죄에 관한 강력한 조치가 내년 7월까지 시행될 것이라고 밝힘.
(Khmer Times 10/3, 4면)(Phnom Penh Post 3면)
■. 프놈펜-시하누크빌간 고속도로 10.1 시범개통
ㅇ 공공사업운송부(MPTP)는 10.1 시범 개통 이후 10.2까지 이틀간 프놈펜-시하누크빌간 고속도를 이용한 차량은 10.1 9,000여대, 10.2 약 15,000대이며, 교통사고는 한 건도 없었다고 발표함.
– 고속도로는 10월 한 달 간 통행료를 부과하지 않음. 동 도로 이용시 프놈펜에서 시하누크빌까지 차로 약 2시간 소요(기존 4번 국도 이용 시 5-6시간 소요)
(Phnom Penh Post 10/4, 4면)
■. 웽 사콘 농림부 장관, EU와 농수산물 개발 부문 협력 강화 모색
ㅇ 웽 사콘 농림수산부 장관은 10.3-5간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개최하는 ‘2022 식품안전포럼(Food Safety Forum 2022)’에 참석하고, UNIDO(유엔산업개발기구)와 만나 식품산업 개발 분야의 협력강화 방안에 대해 논의하며, 10.6-7간 벨기에의 브뤼셀에서 유럽집행위원회(EC) 산하 기관인 ‘보건·식품안전총국(DG SANTE)’과 ‘해양 수산총국(DG-MARE)’과 면담한다고 밝히고, “금번 방문을 통해 캄보디아산 농산물의 부가가치 제고를 위한 농업개발 협력 강화 방안 및 캄보디아산 수산물의 EU 수출 가능성을 모색할 것”이라고 말함.
(Phnom Penh Post 10/4, 6면)
■. 한-캄 FTA 올해 12.1 발효
ㅇ 주캄 대한민국대사관이 10.2(일) 캄보디아 외교부에 한-캄보디아 자유무역협정(FTA)의 국내절차 완료에 대해 공식 통지한 바, 60일이 경과되는 시점인 올해 12.1부터 FTA가 발효됨.
– 빠엔 소빗찌엇 상무부 차관보는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의 회원국이기도한 한국과 캄보디아가 RCEP을 통한 일부의 제한적 혜택을 넘어 양국 간 추가적 혜택이 제공되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힘.
(Khmer Times 10/5, 13면)
■. CDC승인 1-9월간 투자건의 약 50%를 현지 기업이 차지
ㅇ 올해 1-9월간 캄보디아개발위원회(CDC)가 승인한 투자사업건수는 총 150건 총 자본금 34.5958억 달러*이며, 이 중 현지 업체들의 투자사업건수가 전체의 50.94%(17.62억 달러)를 차지, 다음으로 중국(43.98%), 태국(1.27%), 일본(1.14%)의 순서임.
* 작년 동기 대비 16개 사업 약 1.1억 달러 증가
– 부문별 : 산업 132건(13.993억 달러), 인프라 관련 8건(17.9115억 달러), 농업 및 농산업 7건(1.049억 달러),관광업 3건(1.643억 달러)
(Khmer Times 1/7, 13면)(Phnom Penh Post 1면)
■. 캄 정부, 인플레이션 대응위해 취약가정에 현금 지원
ㅇ 훈 센 총리는 10.6(목) ‘2022 캄보디아전망 컨퍼런스’를 주재하면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야기된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영향을 받고 있는 약 60만 가구, 2백만 명에 대한 재난 지원금을 지급할 계획이라고 밝힘.
– 한편, 동 컨퍼런스에서 훈 센 총리는 “전 세계적으로 불확실성과 복잡성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캄보디아 정부는 2021-2023 코로나19와 함께하는 뉴노멀 시대에서의 전략적 프레임워크 및 프로그램과 같은 국가경제회복력 구축을 우선시할 것이라고 강조함.
(Phnom Penh Post 10/7, 1면)
■. 캄보디아 최초 ‘녹색채권’상장 가능성
ㅇ 캄보디아증권거래소(CSX)는 오피스 임대를 주업무로 하는 부동산개발사 Golden Tree Co.Ltd가 약 3백만 달러 상당의 ‘녹색채권(Green bond)’*을 발행하는 것에 관한 채권상장 적격성 검토 신청서를 원칙적으로 승인함.
* 액면이자율 7%, 5년 만기.
– Golden Tree社는 캄보디아 증권거래감독위원회(SERC)의 최종 승인을 받아 채권을 증권거래소에 상장할 수 있게 되며, 소득세 포함 각종 세금감면 인센티브들이 제공됨.
– 홍 속후어(Hong Sok hour) CSX 대표는 “녹색채권의 발행과정은 일반채권의 발행과정과 거의 동일하나, 자격요건에 기후 및 환경 고려사항이 추가된다”고 설명.
(Phnom Penh Post 1/7, 6면)(Khmer Times 10/6, 14면)
[코로나19 동향]
■. 신규 확진 및 사망
7일(10.1-10.7)간
– 신규 확진 : 총 35명(PCR, 오미크론)
1일 평균 약 5명
– 사망 : 0명
2022.10.7.(금) 오전 기준
– 누적 확진 : 137,912명(해외유입 21,234명)
– 누적 완치 : 134,786명
– 누적 사망 : 3,056명
■. 캄 정부, 입국 시 백신접종 증명 의무 해제
ㅇ 캄 정부는 훈 센 총리의 권고에 따라 10.3(월) 해외 입국자들에 대한 건강증명서 또는 코로나19 예방 백신 접종 증명서 제시 의무를 해제한다고 발표함.
– 단, 국경 출입 시의 체온 측정 및 코로나19 의심증상자 관리를 위한 보건 담당자의 국경 및 공항 내 상주는 그대로 유지
※ 입국 후 PCR 의무검사는 올해 3월 해제
(Phnom Penh Post, 10/4, 1면)
■. 백신 접종 통계
ㅇ 10.6(목) 기준 누적 코로나19 백신 접종자수 : 15,200,887명
– 전체 인구 16백만 명 기준 접종률 : 95.01%
※ 18세 이상 약 10백만 명 기준 접종률 : 103.68%
※ 12-17세 약 2백만 명 기준 접종률 : 101.07%
※ 6-11세 약 1.9백만 명 기준 접종률 : 110.14%
※ 5세 약 30만 명 기준 접종률 : 139.39%
※ 3-5세미만 약 61만 명 기준 접종률 : 77.24%
(보건부 SNS 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