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9, 2021
2021년 캄보디아 주간(2.20-2.26) 경제동향
[경제/사회]
■. 빤 소라삭 상무 장관, 2021 Dubai expo 참석 예정
ㅇ 빤 소라삭 상무 장관은 두바이에서 2021.10.1.-2022.3.31.간 개최되는 2020 Dubai expo*에 아랍에미리트 정부의 초청으로 참석할 계획이라고 밝힘(2.18)).
* 전 세계 200여개국 및 국제기구로부터 약 2천5백만명 참석 예정
(Khmer Times 2/22, 11면)(Phnom Penh Post 7면)
■. 캄 정부, 러시아·인도와의 무역 강화 방안 모색
ㅇ 썸헹 보라 상무부 차관보는 캄-러 공동 우선분야 투자 사업 촉진을 위한 제2차 실무회의 개최를 앞두고 2.17 상무부에서 열린 부처-기관간 회의를 주재하면서, 캄 정부는 러시아와의 FTA협상 가능성을 포함한 무역 확대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밝힘.
ㅇ 한편, 뻰 소빗찌읏 상무부 대변인은 인도와의 FTA 협정 체결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타당성 조사를 수행하기 위해 역내 독립적인 연구기관과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고 말함.
(Phnom Penh Post 2/22, 6면)(Khmer Times 13면)
■. ‘정부자원봉사 변호사그룹’, 100일간 2천건 이상 무료 변호 제공
ㅇ ‘캄보디아정부자원봉사 변호사그룹(BAKC)’은 지난 11월부터 100일간 전국적으로 취약층과 관련된 2,167건의 소송건과 관련하여 3,658명의 의뢰인에게 무료 법률 대리인 서비스를 제공했다고 발표함(2.19).
– 리 짠똘라 BAKC 대표는 작년 11월부터 전국의 법원에 300여명의 자원봉사 변호사를 배치하여 취약층을 위한 법률 대리인 자원 활동을 해오고 있다고 말하고, 올해 정부는 BAKC에 대한 예산 지원을 20억리엘(약50만불)까지 확대할 예정이며 향후 추가적으로 확대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힘.
(Phnom Penh Post 2/22, 1면)
■. 캄 정부, ‘도시지역 쓰레기 및 고형폐기물 관리에 관한 10개년 정책’발표
ㅇ 훈 센 총리는 2.16 수상령(sub-decree) ‘도시지역 쓰레기 및 고형폐기물 관리에 관한 10개년 정책’*을 발표하고, 폐기물 수거, 재활용 및 고형폐기물의 전기에너지화 등 모든 과정을 통합 관리·감독하는 ‘도시지역 쓰레기 및 고형폐기물 관리위원회’**를 창설함.
* 동 정책은 3R(Reduce, Reuse, Recycle)의 실행을 원칙으로 함.
** 싸이 썸알 환경부 장관이 위원장직에, 위원회 위원에는 총 20명의 고위직 관리가 임명됨. 위원회는 고형폐기물의 전기에너지화 사업 부문 투자 유치를 위해 관련 정책 및 액션플랜을 수립하는 업무를 맡게 됨.
– 훈 센 총리는 동 부문 대중들의 인식 변화와 책임감, 적극적 참여를 통해 안전하고 위생적인 정책의 실행을 기대한다고 말함.
(Phnom Penh Post 2/23, 2면)
■. 2020년 캄보디아의 對중 수출 8% 증가
ㅇ 캄 상무부의 통계에 의하면, 2020년 캄보디아의 대중 수출액은 10.86억불로 2019년(10.04억불) 대비 8% 증가함.
– 한편, 캄보디아의 중국산 제품 수입은 약 70억불로 10% 하락
(Phnom Penh Post 2/23, 1면)
■. 훈 센 총리, 지방당국에 국경통한 수출 확대 지원 지시
ㅇ 코로나19의 지역사회 감염이 확산되는 상황에서 이민국이 2.25부터 국경지대(특히 파일린주)에서의 캄보디아산 농산물의 태국 수출을 금지하는 내용의 법규가 시행된다는 소식과 관련하여, 훈 센 총리는 2.24 음성메시지를 통해, 캄-태, 캄-베, 캄-라오스 국경지역 주 당국은 캄보디아산 제품의 수출 확대를 지원하도록 지시함.
– 훈 센 총리는 전염병의 해외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방역조치를 강화해야 하나, 인접국들과의 무역은 정상적으로 지속해야 한다고 말하면서, 서 켕 내무부 장관과 이민청장에게 국경무역 금지 조치를 철회하고 국경무역이 확대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을 요청하겠다고 밝힘.
(Phnom Penh Post 2/25, 1면)
■. 농업부, 캄보디아산 망고의 중국 수출 조만간 허가 기대
ㅇ 캄 농업부는 중국측에 제출한 망고재배농가 30곳과 위생처리공장 4곳에 대한 중국으로의 생망고 수출 관련 허가가 곧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힘.
– 농업부는 망고의 수출시장 확대를 위해 한국, 중국, 일본과 기술 및 위생검역 규정에 대해 논의 중이라고 말함.
– 캄 농업부는 작년 6월 캄보디아산 망고(Keo Romiet품종)의 중국시장 수출을 위한 식물검역 요건에 관한 의정서에 서명하고, 이에 따라 매년 50만톤의 캄보디아산 망고를 중국시장에 수출할 수 있게 됨.
※ 작년 12월 농업부의 보고서에 의하면, 망고농장의 총 재배면적은 124,319ha이며, 총 91,398ha에서 평균 1,448,677톤의 망고를 수확하여, 연 2회 헥타르 당 평균 15.85톤을 수확하는 것으로 나타남.
(Phnom Penh Post 2/25, 6면)
■. 캄 정부, ‘2021 마약 퇴치 캠페인’ 계획 발표
ㅇ 캄 정부는 2.24, 2021년 한 해 동안 실시될 ‘제6차 연례 마약사용 및 밀매 차단 캠페인’에 관한 국가 계획을 발표함.
– 훈 센 총리가 서명한 동 계획은 특히 동 부문 국제협력을 강화하고 국경을 통한 마약 밀매에 대해 강력히 대처할 것을 강조함. 서 켕 내무부 장관이 캠페인 추진위원장으로 재선임되고, 께끔얀 국가마약퇴치국(NACD) 국장이 부위원장으로 임명됨.
※ 정부 발표에 의하면, 2020년 한 해 동안 진행된 제5회 마약 방지캠페인에서 경찰은 전국적으로 10,161건의 마약범죄(중범죄 77건)를 진압, 21,566명을 체포하고 약 8천킬로 이상의 마약류를 압수함. 체포건수는 전년 대비 20% 증가, 마약류 압수는 17% 증가
(Khmer Times 2/25, 2면)
■. 2020년 캄-인도 양자무역 통계
ㅇ 2020년 캄-인도간 양자무역액은 1.9억불로 2019년의 2.56억불 대비 25.81% 감소함(캄 상무부 자료).
※ 캄보디아의 對인도 수출액은 61.36백만불로 전년(64.67백만불) 대비 5.12% 감소, 수입은 1.29억불로 전년(1.92억불)대비 32.97% 감소
– 뻰 소빗찌어 상무부 대변인은 양국간 무역은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에는 꾸준한 증가추세였다고 말하고, 인도는 인구가 많고 소비자들의 구매력이 급증하고 있어 캄보디아에 있어 큰 수출시장으로서의 잠재력을 제공한다고 언급
※ 2019년 양국간 교역액은 2.56억불로 2018년의 2.05억불 대비 증가 (캄 외교부 자료)
– 캄보디아는 작년 캄-인도 FTA체결을 위한 타당성 조사에 착수
– 올해 1.18 Devyani Uttam Khobragade 신임 주캄 인도대사는 훈 센 총리와의 예방면담에서 캄-인도간 FTA 가능성 연구조사 진행을 공식요청함.
(Phnom Penh Post 2/26, 6면)
[대외 협력]
■. 영국 무역 특사, ‘영국의 대캄 투자 확대 위해 노력’
ㅇ Heather Wheeler, 영국 총리의 무역 특사(캄보디아,라오스,베트남 담당)는 2.18 빤 소라삭 상무장관과의 화상회의에서, 영국투자자들과 기업인들이 캄보디아 시장의 잠재력과 장점을 연구하여 대캄 투자유치를 확대함으로써 캄보디아가 영국으로부터 적용받고 있는 관세특혜로부터의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언급함.
– 빤 소라삭 상무 장관은 ‘영국-아세안 대화파트너십’의 진행을 지지한다고 말하고, 캄보디아가 올해 13차 ASEM과 내년 40차 아세안 정상회의를 주재하는 것에 대해 언급함.
※ 2020년 캄-UK 양자무역액은 8.23억불로 2019년(9.87억불) 대비 17.61% 감소, 캄보디아의 대UK 수출은 7.67억불로 16.02% 감소, 수입은 46.45억불로 37.30% 감소, 대UK 주요 수출품은 의류, 신발, 자전거, 쌀, 농산물, 주요 수입품은 자동차, 기계류(캄 재경부 통계)
(Phnom Penh Post 2/22, 6면)
■. 일본, 홍수로 인한 식량안보 위협 대응에 2백만불 지원
ㅇ 일본 정부는 2.22 캄보디아의 홍수 피해 가구와 지역사회에 있어서의 식량안보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유엔세계식량계획(WFP)에 2백만불을 지원함.
– 응안 쩜라은 내무부 차관은 동 지원금은 홍수 피해 지역에서의 포괄적인 식량 안보 및 영양 평가 수행사업을 위해 사용되어질 것이라고 밝힘.
※ 작년 10월 발생한 홍수로 14,299가구의 집이 유실되었으며, 14개 주 176,000가구 약 80만 명이 피해를 입음.
※ 2019년 일본은 WFP를 통해 동 부문 캄보디아에 2.7백만불을 지원함.
(Khmer Times 2/23, 6면)(Phnom Penh Post 3면)
■. 유엔, 시하누크빌 스마트시티 구축 추진 지원
ㅇ 주캄 유엔사무소는 유엔인권고등판문관실과 UN-Habitat의 협력으로 계획된 ‘Sihanoukville for All: Promoting a Smart, Sustainable, and Inclusive City’사업의 추진 논의를 위해 2.23 시하누크빌 당국과 화상회의를 가짐.
– UN 사무소측은 동 사업은 2019년 11월에 ‘도시화, 경제정장, 포용적 개발’ 등을 주제로 열린 유엔과 시하누크빌 주지사 간 회의에서 시작되었다고 말하고, 작년 8월에 시작되어 올해 7월 완료 예정인 동 사업의 설계는 ‘지속가능한 개발의제 2030’ 및 ‘지속가능한 개발목표(SDGs)’를 기반으로 한다고 말함.
– 키응 피어룸 시하누크빌주 대변인은 아세안 스마트시티 네트워크에 시하누크빌주를 포함시킬 것을 요청하는 서한을 아세안에 제출할 계획이라고 말함. (※시엠립, 바탐방, 프놈펜은 아세안 스마트시티 네트워크에 포함)
(Phnom Penh Post 2/25, 3면)
■. 독일, 보건분야 16백만불 무상원조
ㅇ 육 삼밧 보건부 차관은 독일이 코로나19 대응 비용과 병원치료비 지불이 어려운 취약층을 돕기 위한 캄 보건부의 이니셔티브 이행을 포함한 보건 사업에 16백만불을 무상지원했다고 발표함.
※ 작년에 독일은 취약층 및 빈곤층 가구 식별, 사회보건 보호, 지역 경제 개발, 연구 및 전문가 기금 창설 등을 지원하기 위해 14.6백만불의 기술지원을 위한 무상 원조를 제공함.
(Khmer Times 2/25, 7면)
■. 캄-필리핀, 직업기술교육훈련에 관한 MOU 초안 준비 협력
ㅇ 잇 섬헹 노동부 장관과 Maria Amelita Aquino 주캄 필리핀 대사는 2.25 면담을 갖고, 양국이 직업기술교육훈련(TVET)에 관한 양해각서의 초안 완료를 위해 지속적으로 협력해 나가는 것에 합의함.
– 노동부에 의하면, 동 MOU의 목표는 기술과 지식 제공 및 경험과 전문기술을 공유하며, 특히 귀국 후 재취업하고자 하는 이주 노동자들에 대한 직업기술훈련을 지원하게 됨.
(Khmer Times 2/26, 7면)
[코로나19 현황 관련]
■. 신규 확진 및 누적 완치 현황
1주(2.29-2.26)간
ㅇ 신규 확진 : 257명(지역 감염 237명)
ㅇ 누적 완치 : 7명
2.26(금) 07:00 기준
ㅇ 누적 확진 : 741명
ㅇ 누적 완치 : 477명
ㅇ 격리 치료 : 262명(확진자 2명은 소재파악 중)
■. ‘2.20 지역사회 감염’ 관련
ㅇ (훈 센 총리, 제3차 (2.20)지역사회 감염 발표) 훈 센 총리는 2.20 대국민 특별담화를 통해, 프놈펜시에 3차 지역감염이 발생했음을 발표하고 방역수칙 강화를 당부함.
– 2.19밤부터 2.20 아침까지 약 10시간 동안 지역사회 감염 32건 발견
– 해외 출국을 위해 신청한 코로나19 진단 검사 진행 중 양성 확진자(중국인)
ㅇ (프놈펜시, 껀달주 휴교) 2.25 교육부는, ‘2.20 지역사회 코로나19 감염의 확산 방지를 위해 프놈펜시 및 껀달주 소재 학교에 대한 2주간의 임시 휴교를 발표함.
ㅇ (각료회의 취소) 캄 정부는 2.23 매주 금요일 개최하는 정례 각료회의의 이번주(2.26) 개최를 코로나19의 지역감염 확산 방지를 위해 취소한다고 발표함.
ㅇ (대규모 지역감염 확산 가능성 우려) 캄 보건부와 세계보건기구(WHO)는 2.23 기자회견을 개최하여 금번 ‘2.20 코로나19의 지역사회 감염’은 작년 11월의 지역사회 감염보다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며, 근원을 아직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고 밝히면서, 대규모 지역감염 확산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고, 확산 방지를 위한 국민들의 경계와 협력을 당부함.
(Khmer Times, Phnom Penh Post 2/24, 1면)(정부, 프놈펜시 공고문)
ㅇ (법원, 3.12까지 모든 재판 연기) 프놈펜지방법원은 코로나19의 지역사회 감염 확산 방지를 위해 일부의 긴급한 경우를 제외하고 2.24일부터 3.12까지 모든 재판을 연기한다고 발표함.
(Fresh News 2/23, 2.23일자 프놈펜지방법원 공고문)
■. 캄 정부, 인도에 백신 5백만 도스 추가 구매요청
ㅇ 캄 외교부는 보도자료(2.18)를 통해, 쁘락 소콘 외교장관은 Subrahmanyam Jaishankar 인도 외교 장관과의 전화통화를 통해, 인도에 추가로 백신 5백만도스를 구매요청했으며 1단계 구매량으로 1백만도스를 요청했고, 인도측은 이를 총리에게 전달하겠다고 말했다고 밝힘.
※ 인도 정부는 2.5 인도산 백신 10만도스의 캄보디아 제공을 승인함.
(Phnom Penh Post 2/22, 3면)
■. 지방 9개주 시노팜 백신 접종 시작
ㅇ 보건부는 2.22부터 프놈펜과 9개주*에 있는 의료진, 공무원, 경찰을 대상으로 시노팜 백신의 자발적 접종이 시작될 것이라고 발표하고 예방접종을 위한 병원을 지정함.
* 바탐방, 반테이민체이, 오더민체이, 꺼꽁, 스와이리응, 뽀삿, 껩, 파일린, 시하누크빌
(Phnom Penh Post 2/22, 3면)
■. 캄 정부, 방역수칙 위반 외국인 추방 결정
ㅇ 훈 센 총리는 2.18 코로나19 방역 수칙에 비협조적이거나 위반한 외국인을 추방 조치할 것을 서한을 통해 요청한 디 빗찌어 ‘COVID-19 의심사례 연구 및 추적조사 분과위원회‘위원장의 요청을 승인함.
– 디 빗찌어 위원장은 서한에서, 보건부의 코로나19 방역수칙 특히 격리조치에 비협조적인 외국인은 추방하고 재입국을 금지시키며, 캄보디아인들은 국내법에 따라 처벌하고, 영업장과 기업에 대해서는 면허 취소, 영업폐쇄의 조치를 취할 것을 요청함.
ㅇ 한편, 2.22 프놈펜시는 ‘2.20 지역사회 감염’관련 방역강화에 관한 공고문 발표를 통해, 보건부의 방역수칙을 준수하지 않는 행사주최자 및 사업주들에 대해서는 행사 중단, 사업장 폐쇄 등 법적 조치하겠다는 지침을 발표함.
(Khmer Times 2/24, 2면)(Phnom Penh Post 3면)
■. 중국, 마스크 10만장 기부
ㅇ 중국 정부는 프놈펜시에 마스크 10만8백장을 기부하였으며, 프놈펜시는 이를 14개 코뮌에 배포할 계획이라고 말함.
(Khmer Times 2/24, 4면)
■. 보건부, 시하누크빌주 중국인 감염사례는 해외 유입으로 파악
ㅇ 오 반딘 보건부 대변인은 2.25 시하누크빌에서 발생한 코로나19 확진사례는 현재까지는 프놈펜시의 지역감염과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추가 조사를 진행 중이라고 밝힘.
– 한편,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은 중국인들 중 거주지를 이탈한 일부 중국인들에 대한 소재지 파악 조사도 진행 중이라고 밝힘.
– 보건부는 쁘렉프너으 소재의 프놈펜격리센터의 최대 수용인원이 500명까지라고 말함.
ㅇ 주캄 중국대사관은 2.25 SNS를 통해, 현재 시하누크빌 주립병원내에 3월말 완공예정인 COVID-19 검사 연구소에 기술지원을 제공하겠다고 밝표함.
ㅇ 육 삼밧 보건부 대변인은 2.20 지역사례 감염과 관련하여 2.24 기준 약 6,700명이 진단검사를 받았으며, 대부분이 중국인이라고 밝힘.
(Phnom Penh Post 2/26, 1면)(Khmer Times 1면)
■. COVAX 백신 공급 일정 연기
ㅇ 코백스 퍼실리티(COVAX Facility)가 2.3 발표한 ‘잠정 배분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캄보디아는 1.296백만 도스의 옥스포드/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공급받을 예정이며, 2.23 캄보디아 WHO의 대표(Dr.Li Ailan)가 이달말까지 캄보디아에 도착할 예정이라고 발표했으나, 익명의 보건부 관계자는 백신의 선적이 연기되었다고 말함.
(Khmer Times 2/26, 4면)
■. 내무부, 백신 관련 가짜 뉴스 보도한 중국인 언론사 사장 추방 조치
ㅇ 내무부는 2.25 중국이 기증한 시노팜 백신이 대중에게 판매되고 있다는 가짜뉴스를 보도(2.23)한 온라인 언론 ‘Angkor Today’의 중국인 대사장(52세)를 추방하고 재입국도 불허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함.
– 공보부는 2015년 동 언론사에 발급한 면허를 취소한다고 발표
(Phnom Penh Post 2/26, 1면)(Khmer Times 6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