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31, 2017
– 실제 건설 시장에 유입되는 자금이 정부발표에 못 미친다는 분석 –
– 건설자재 품질보다 단가를 우선시하고 있어 세일즈 포인트 설정이 중요 –
□ 캄보디아 건설 프로젝트 호황 지속
ㅇ 2017년 상반기 프로젝트 승인 수는 1523건으로 전년대비 28% 증가로 호황 지속
– 캄보디아 국토관리부 발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에 캄보디아에서 승인된 건설프로젝트 수는 전년동기대비 28% 증가한 49억 달러 규모임.
– 작년 상반기 1183개 프로젝트와 비교해 1월과 6월 말 사이 전국적으로 1523개의 프로젝트를 승인했다고 발표했으며, 건설 프로젝트의 총 가치는 전년동기 38억7000만 달러에 비해 약 10억 달러 증가한 49억4000만 달러를 기록함.
프놈펜 건설현장 전경
자료원: Cambodia Skylines
ㅇ 그러나 정부 발표에도 불구하고, 실제 건설 시장으로의 자금 유입은 크지 않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음.
– 캄보디아 부동산협회 대표의 발언에 따르면, 일부 개발자들은 실제 자금 규모보다 부풀려진 금액으로 프로젝트 계획을 정부에 보고하고 있다고 함.
ㅇ 건설자재 시장 또한 수요에 비해 규모면에서 증가하고 있지 못함.
– 건설 시장이 최고조에 달했던 2015년 자료에 따르면, 건축자재 수입은 200만 톤에서 570만 톤으로 두 배가 넘는 증가를 했으나, 가치 추산으로는 4억3000만 달러에서 3억2000만 달러로 24%가 감소함.
– 다만 수요 증가에 따라 일부 현지 업체들은 매출액 증가를 경험하고 있으며, 건설 경기 호황에 따라 관련 산업이 계속 성장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음.
□ 캄보디아 건설 인테리어 진출기업 인터뷰 요약
ㅇ 캄보디아에서 10년간 인테리어 및 건설업계 종사한 관계자는 캄보디아 시장 진입을 위해서는 몇 가지 중요한 사항에 대해 직접 경험하고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고 이야기 함.
ㅇ 캄보디아 건설경기는 호황이지만 한국 업체들은 최근에서야 회복하고 있음.
– 2009~2012년경 활발했던 한국 업체 진출이 실패로 끝나면서 신뢰도가 많이 하락해 있음. 중국·일본 업체와의 경쟁으로 어려움이 계속돼 왔으며, 최근에서야 조금씩 숨통이 트이고 있음.
ㅇ 건설 단가 문제로 저가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음.
– 다수의 건설 프로젝트가 중국계 자금에 의해 진행되고 있으며, 해당 건설사들은 자신들의 기존 공급자들과 함께 진출하고 있음. 또한 레퍼런스 제공을 빌미로 단가를 매우 낮춰 공급을 받으려고 하고 있어 가격 경쟁이 쉽지 않음.
– 한국 제품은 품질이 우수하다고 인지하고 있으나, 건설 단가를 맞추기 위해 저가제품을 선호함. 가격 차이가 크지 않은 제품이나 특수성이 있는 제품을 제외하고는 현지 유통업체가 느끼는 메리트가 크지 않음.
ㅇ 중국, 말레이시아, 태국 등 인근 국가 업체에서는 직접 진출해 시장을 선도하고 있음.
– 현지 대형 바이어 및 무역상들이 있으나, 직접 진출하는 업체도 계속 증가하고 있어 대부분의 제품이 확보 가능함. 이에 따라 한국에서 수출만 해서는 시장 진입이 어려울 수 있음. 인근 국가에 에이전트가 있을 경우 캄보디아 바이어가 에이전트를 접촉할 수 있게 하는 방안도 옵션이 될 수 있음.
ㅇ 오더베이스 방식으로 대부분의 제품을 취급해 대량 수출이 어려움.
– 국내 생산·제조되는 제품이 거의 없어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나, 오더베이스 방식으로 제품을 취급해 수입상과 거래가 이루어지더라도 발주 전까지는 소량 수출만 가능함. 또한 발주 시 여유분을 일반적이 수준보다 많은 30%까지 수입하고, 프로젝트 이후 남는 제품을 시장에 판매하는 형태가 많음.
□ 전망 및 시사점
ㅇ 캄보디아 건설 경기는 호황이나 건축 자재 및 연관 사업으로의 진출은 시장 상황을 고려해야 함.
– 인근 국가에서 직접 진출한 업체들과 현지 자생 기업들이 저가제품을 주로 취급하고 있음. 실제로 건설 단가 문제로 이러한 저가제품들이 주로 거래되고 있음.
– 한국 제품이 캄보디아 시장에 들어오기 위해서는 취급품목이 현지 시장에서 충분한 경쟁력이 있을 지에 대한 사전조사가 필요함. 특수성이 있어서 현지에서 구하기 어렵거나, 제품가격에 크게 구애받지 않는 제품일 경우 시장 진입 가능성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