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사관-2022년 캄보디아 주간(7.16-7.22) 경제 동향

2022년 캄보디아 주간(7.16-7.22) 경제 동향

[경제]

■. CDC, 85백만 달러 규모 태양광 패널 제조공장 건설사업 승인

 

ㅇ 캄보디아개발위원회(CDC)는 끄러체주 경제특구에서 진행예정인 중국기업*이 투자하는 84.5백만 달러 규모의 태양광패널 제조공장 건설 사업을 승인함(7.18).

* L-Q New Energy Co. Ltd. 예상고용창출 약 1,000개

– 미국은 지난달(6.6) 동남아 4개국(캄보디아, 말레이시아, 태국, 베트남)으로부터 수입되는 태양광 패널에 대한 2년간의 한시적 관세 면제를 발표

– 름 헹 캄보디아상공회의소 부회장은 7.19(화) 언론인터뷰를 통해, 미-중 무역갈등으로 인해 태양광 패널에  대한 투자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고 말함.

※ 2021년 캄보디아는 2.74억 달러 상당의 54,319톤의 태양광 패널을 수출(수출량 기준 2020년 대비 27% 증가). 이 중 2.57억 달러 상당 53,189톤을 미국으로 수출

(Khmer Times, Phnom Penh Post 7/20, 1면)

■. 상반기 시하누크빌주 경제특구 무역 13.7억 달러

 

ㅇ 올해 상반기 시하누크빌주 경제특구(SSEZ)*의 무역 규모는 13.7억 달러로 작년 동기 대비 38% 증가함.

* 캄-중 민간기업 합작

– 뺀 소빗찌어(Penn Sovicheat) 상무부 대변인(/차관보)은 “SSEZ는 일대일로(BRI)의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한 캄-중 양국간 상생협력의 완벽한 사례”라고 언급한 바 있음.

(Khmer Times 7/20, 13면)

■. 농림부, 농업의 현대화 전략 수립 필요성 강조

 

ㅇ 스레이 붓티(Srey Vuthy) 농림부 대변인은 7.19(화) 각료실에서 주최한 지난 5년간의 농림부의 성과‘에 관한 기자회견에서, “과거 전체인구의 50% 이상을 차지하던 농업인구가 현재는 30%대로 감소했으며, 향후 추가 감소세가 예상되는 바, 현재의 노동집약적인 농업형태를 현대화하여 생산성을 제고하고 현대화 교육 지원을 통한 청년농가 육성 전략이 필요하다 ”고 강조함.

– 붓티 대변인은 “2030년 농업인구수가 20-25%까지 감소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힘.

(Phnom Penh Post 7/20, 1면)

■. 중앙은행, “5월 인플레이션 7.2%로 과거 10년 간 최고치 기록”

 

ㅇ 찌어 찬토 캄보디아중앙은행(NBC) 총재는 7.20(수) 상반기 결산 회의에서 “올해 5월 국내 물가상승률이 과거 10년간 최고치인 7.2%를 기록했다”고 발표하고, “NBC는 통화정책을 통해 인플레이션 압박을 통제하고 경제회복을 지원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힘.

– 찌어 짠토 총재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됨에 따른 농산물 가격과 유가상승이 인플레이션의 주된 요인이며,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 은 건설자재 가격 급등으로 이어졌다고 말하는 한편, 캄보디아의 성공적 코로나19 통제로 인해 올해는 봉제부문 수출, 관광, 건설, 부동산, 농업 등 주요 부문에서 성장이 예상된다고 말함.

(Khmer Times 7/21, 1면)

■. 상반기 캄보디아의 대 RCEP 회원국 수출 작년 대비 10% 증가

 

ㅇ 캄 상무부가 7.21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올해 상반기 캄보디아의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회원국들에 대한 총 수출액은 32.8억 달러로 작년 동기의 29.9억 달러 대비 10% 증가하였으며, 이는 동기간 캄보디아 전체 수출액인 113.7억 달러의 28.8%에 해당함.

※ RCEP의 FTA 2022년 1월 1일부터 발효

– 동기간 캄-RCEP간 교역액은 162.4억 달러로, 작년 동기 대비 9% 증가

– 동기간 캄보디아의 3대 수출 시장은 베트남, 중국, 일본으로 각각 11.74억 달러, 6.12억 달러, 5.42억 달러를 수출

(Khmer Times 7/22, 13면)

■. ‘복합운송연결 및 물류 마스터플랜’ 시행 5억달러 소요 예상

ㅇ 캄 공공사업운송부(MPWT)는 캄보디아의 ‘복합운송 연결(multi-mode transportation connectivity) 및 물류 10개년 마스터플랜 초안’을 준비 중이며, 시행을 위해서는 약 500억 달러의 예산이 필요하다고 밝힘.

– Koy Sodany MPWT 차관은  마스터플랜 초안은 2024년 또는 2025년에 완료될 예정이며, 도로, 철도, 고속도로, 수로, 해상교통시스템, 항만, 공항 및 물류 인프라 개발 사업이 포함될 것이라고 말함.

(Khmer Times 7/22, 1면)

 

■. 민관 협력 ‘관광회복 공동자금조달계획’에 따른 대출 개시

 

ㅇ 국영 캄보디아중소기업은행(SME Bank of Cambodia)에 의하면 총 19개*의 관광관련 사업체가 1.5억 달러 규모의 ‘관광회복 공동자금조달계획(TRCS)’*에 따른 대출을 승인받음.

* 코로나19 팬데믹으로 타격을 입은 관광부문 사업체들에 대한 자금지원을 목적으로 5.17 출범, 현재 19개 참여금융기관(PFI)의 지원으로 운영 중. 7.1 공식 대출 신청 개시. 캄 정부가 SME은행을 통해 7,500만 달러를 지원하고, 상업은행과 소액금융기관(MFIs)으로 구성된 PFIs가 나머지 7,500만 달러를 지원. 주요 상품으로는 연간 금리 최대 6.5%, 16개월 원리금 상환 유예, 대출 기간 최대 7년, 최대 40만 달러 대출 등

– 한편, 관광관련 기업들은 대출 조건의 완화를 요구하고 있는 상황

(Phnom Penh Post 7/22, 6면)

[대외 협력]

■. CMAA, 영국대사와 ‘2025년 지뢰없는 캄보디아 프로젝트’ 계획 공유

 

ㅇ 리 뚜잇 캄보디아지뢰제거 및 희생자지원국(CMAA) 제1부위원장은 7.21(목) 주캄 영국대사관저에서‘지뢰제거 활동 설명회’를 갖고 향후 작업 및 예산수립 계획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동 부문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을 요청함.

– 리 부위원장은 일본의 지원으로 바탐방주와 오더미언체이주 대한 지뢰제거 작업을 진행할 예정이며, 뽀삿주와 파일린주의 지뢰제거 작업 지원에 대한 협상이 진행 중이고, 중국과는 쁘레야비히어주, 시엠립주, 깜뿡톰주 일부 지역에 대해, 국제 NGO인 APOPO와는 쁘레야비히어주 일부지역 활동을 위한 자금지원을 협상 중이라고 하고, 일본, 중국, 미국, 영국, 스위스, 독일, 아일랜드 등 공여국의 지속적인 지원을 기대하고 있다고 밝힘.

– 리 부위원장은 “2025년까지 지뢰없는 캄보디아 조성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1.36억 달러가 추가로 필요하다”고 말함.

(Phnom Penh Post 7/22, 3면)(Khmer Times 3면)

■. 미국, 캄보디아 고대 유물 30점 8월 반환 예정

 

ㅇ 합 또잇(Hab Touch) 캄 문화예술부 차관은 7.19(화) 미국의 개인수집가들이 소장 중인 앙코르시대 전후의 캄보디아 유물 30점이 미국 내 소송 건이 해결된 이후 8.8 캄보디아로 반환될 예정이라고 밝힘.

– 최근 캄보디아의 문화재 27점이 미국으로부터 반환된 바 있음(7.13 국립박물관에서 인도인수식 개최).

– 1970년대부터 1990년대 초까지 개인수집가들에 의해 미국, 일본, 프랑스, 스위스, 네덜란드, 호주, 영국, 캐나다 등 국외로 불법 유출된 유물들은 1996년 이후 600점 이상이 반환됨.

(Khmer Times 7/20, 3면)

[코로나19 동향]

■. 신규 확진 및 사망

ㅇ 7일(7.16-7.22)간

– 신규 확진 :  총 124명(PCR, 오미크론)

1일 평균 17.7명

※ 해외 유입 : 0명

–      사망 :  0명

 

ㅇ 7.22(금) 07:00 기준

– 누적 확진 : 136,545명(해외 유입 21,224명)

–      사망 :   3,056명

■. 백신 접종 통계

 

ㅇ 7.21(목) 기준 누적 코로나19 백신 접종자수 : 15,113,575명

– 전체 인구 16백만 명 기준 접종률 : 94.46%

※ 18세 이상 약 10백만 명 기준 접종률 : 103.40%

※ 12-17세   약 2백만 명 기준 접종률 : 100.81%

※  6-11세   약 1.9백만 명 기준 접종률 : 109.59%

※     5세   약 30만 명 기준 접종률 : 135.93%

※ 3-5세미만 약 61만 명 기준 접종률 : 7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