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18, 2022
2022년 캄보디아 주간(1.7-1.14) 경제 동향
[경제]
■. 2021. 1-11월, 비금 부문 교역액 약 360억 달러
ㅇ 2021년 1-11월간 캄보디아의 비금 부문 교역액은 약 360억 달러로 2020년 동기 대비 약 24% 증가함(캄 재경부 통계)
– 수출은 156.13억 달러로 전년 대비 22.6% 증가. 주요 수출품은 섬유, 자전거, 가구
(Phnom Penh Post 1/10, 1면)
■. 2021. 1-11월, 캄보디아의 대美 수출 32% 증가
ㅇ 미국 통계국(Census Bureau)에 의하면 2021년 1-11월간 캄보디아의 대美 수출액은 80.18억 달러, 수입액은 3.78억 달러로 2020년 동기 대비 각각 32.7%, 21% 증가함.
※ 주요 수출품 : 의류, 신발, 자전거, 가구(GSP 관세특혜 적용)
주요 수입품 : 자동차, 기계, 전기·전자제품
(Khmer Times 1/10, 11면)
■. 5번국도 개선사업 준공
ㅇ 일본 정부의 양허성차관(1.65억 달러)으로 추진된 5번국도(북부 구간)* 개선사업 준공식이 1.9(일) 개최됨.
* 바탐방주와 반테이민체이주를 연결, 아세안 1번 고속도로(AH1)의 일부 구간, 총 길이 84.74km. 공사기간 : 2018.3.26.-2021.9월
– 준공행사에는 훈 센 총리, 순 찬톨 공공사업운송부 장관, 미카미 마사히로 주캄 일본대사 등이 참석
– 훈 센 총리는 연설에서 일본은 지금까지 14억 달러 이상의 원조를 제공한 캄보디아의 최대 원조제공국 중 하나라고 말하는 한편, 2022년은 일본의 캄보디아내 평화유지활동 30주년이 되는 해로 일본 해상자위대의 군함이 캄보디아에 정박하는 행사가 개최될 경우 자신이 직접 방문할 계획이라고 밝힘.
(Khmer times 1/11, 6면)(Phnom Penh Post 5면)
■. 2021. 1-11월, 비경제특구(SEZ) 사업 승인 전년 대비 약 24% 감소
ㅇ 캄보디아개발위원회(CDC)가 작년 1-11월간 경제특구(SEZ)내 사업을 제외하고 승인한 투자사업의 승인 건수는 총 107건으로 2020년 동기 대비 24.11%(34건) 감소, 자본투자는 총 17.16억 달러로 2020년 동기의 63억 달러 대비 72.8% 감소함.(출처: 캄 재경부)
(Khmer Times 1/11, 11면)(Phnom Penh Post 8면)
■. 시엠립 38개 도로 개선사업 완료
ㅇ 쑨 찬톨 공공사업운송부 장관은 1.9(일) 시엠립주 도로개선 사업 현장을 시찰한 후, 시엠립주의 38개 도로 개선 사업이 100% 완료되었으며 가로등 및 보안카메라와 같은 관련 기반시설의 설치는 현재 70% 완료되어 가까운 시일 내에 준공행사를 개최할 예정이라고 밝힘.
※ 38개 도로 총길이 약 106km, 총 예산 1.4921억 달러
(Phnom Penh Post 1/11, 4면)
■. NBC, ‘2021년 금융부문 강세 유지’ 평가
ㅇ 캄보디아중앙은행은 2021년 말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은행 및 금융기관’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국민들의 부담 완화를 위해 2021년 상반기 기준 약 37.79만 명을 대상으로 약 22.4조억 리엘의 대출 구조조정을 이행했으며, 코로나19 팬데믹에도 불구하고 금융부문의 대출 및 예금은 강세를 유지했다”고 평가함.
– 한편, 캄보디아소액금융협회(CMA)는 2021년 한 해 동안 소액금융 부문은 10% 이상 성장했으며, 2021년 말 기준 CMA 119개 회원사의 대출 신청건수는 3.6만 명, 대출액은 17.34억 달러라고 밝힘.
(Phnom Penh Post 1/12, 1면)
■. 2021년 SSEZ 수출입, 전년 대비 약 42% 증가
ㅇ 시하누크빌 경제특구(SSEZ) 운영사의 발표(1.10)에 의하면, 2021년 SSEZ의 수출입 총액은 22.34억 달러로 2020년의 15.65억 달러 대비 42.75% 증가함(수출입별 자료 미공개).
(Phnom Penh Post 1/13, 9면)
■. WB, 올해 캄보디아의 경제성장률 4.5% 전망
ㅇ 월드뱅크(WB)는 올해와 내년도 캄보디아의 경제성장률을 각각 4.5%와 5.5%로 전망함.
– 훈 센 총리는 올해 캄보디아의 경제성장률을 농산물의 수출증가에 힘입어 5%대로 전망
– 아시아개발은행(ADB)은 작년 9월, 캄보디아의 경제성장률을 2021년과 2022년에 각각 1.9%와 5.5%로 전망
– 국제통화기금(IMF)은 작년 10월, 2022년 캄보디아의 경제성장률을 아세안 10개국 중 다섯 번째로 높은 5.7%로, 향후 5년 내에 6.6% 성장을 달성해 베트남에 이어 2위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 캄보디아의 2019년과 2020년 경제성장률은 각각 7.1%, 3.1%
(Khmer Times 1/14, 1면)
■. 2021. 1-11월, 캄-일 양자교역 소폭 증가
ㅇ 2021년 1-11월간 캄-일 양자교역액은 약 17억 달러로 2020년 동기의 16.92억 달러 대비 0.49% 증가함.(캄 상무부 통계)
– 캄보디아의 수출은 3.61% 증가한 10.94억불, 수입은 4.68% 감소한 6.07억 달러
– 현재 수출 지향의 일본 기업들은 대부분이 프놈펜시와 꺼꽁주 내 경제특구(SEZ)에 투자
(Phnom Penh Post 1/14, 1면)(Khmer Times 12면)
[대외 협력]
■. 캄보디아, 미얀마에 코로나19 의약품 지원
ㅇ 훈 센 총리의 미얀마 방문(1.7-8)과 함께 캄보디아는 미얀마에 마스크, 개인보호장비(PPE), 인공호흡기, 산소발생기 등 총 25톤 약 320만 달러 상당의 코로나19 의료용품을 지원함.
– 캄보디아는 2020년 11월과 2021년 8월에도 미얀마에 코로나 19 대응을 위한 지원금(총 30만 달러)과 의료품을 제공함.
(Phnom Penh Post 1/10, 4면)(Fresh News 1.6)
■. 코이카-‘캄보디아재건개발위원회(CRDB/CDC)’, 개발협력 논의
ㅇ 노현준 코이카 소장과 캄보디아개발위원회(CDC)의 치응 야나라 캄보디아 CRDB 사무총장 겸 총리 수행 장관은 화상회의를 통해 2022-2023년 개발협력 논의를 위한 정책대화를 가짐.
– 양측은 2021년의 성과 및 2022년 계획, 진행 중인 코이카 사업, 2022-2023년 사업, 2022-2025년 국가연수프로그램, 2024년 신규사업 조사, 쁘레야 엉두엉 이비인후과병원의 준공식 준비 등에 대해 논의
(Khmer Times 1/12, 12면)(Fresh news 1/11)
■. 일본, 코로나19 대응위한 차관 1.85억 달러 추가 제공
ㅇ 일본은 JICA를 통해 캄보디아의 코로나19 대응 및 경제회복을 위한 약 1.85억 달러의 차관을 제공함.
– 훈 센 총리는 동 차관은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정부의 정책 시행 및 취약·빈곤 계층 지원을 위해 사용될 것이라고 언급
– 주캄 일본대사관의 보도자료에 따르면 금번 차관 지원은 ‘코로나19 위기대응을 위한 긴급 차관 2단계 지원’으로, 1단계 지원은 2020.11 2.37억 달러를 지원한 바 있음.
※ 관련 서명식은 1.12(수) 훈 센 총리 주재로 쁘락 소콘 외교장관과 미카미 마사히로 일본 대사가 참석한 가운데 개최
(Khmer Times 1/13, 6면)(Phnom Penh Post 2면)
[코로나19 동향]
■. 확진 및 사망 통계
ㅇ 7일(1.8-1.14)간
– 신규 확진 : 총 164명(PCR 검사 기준, 전체 오미크론 확진)
※ 해외 유입 : 130명
– 사망 : 0명
ㅇ 1.14(금) 07:00 기준
– 누적 확진 : 120,728명(해외 유입 20,110명)
– 사망 : 3,015명
■. 지역 사회 오미크론 환자 발생
ㅇ 캄 보건부는 1.9 보도자료를 통해 프놈펜 Russey Keo지역에 거주하는 캄보디아인 남성(23세)이 오미크론 확진자로 판정되었다고 발표하고, 지역사회 첫 오미크론 변이바이러스 환자가 발생함에 따른 주의를 촉구함.
(Phnom Penh Post 1/10, 3면)(Fresh News 1/10)
■. 1.14부터 백신 4차 접종 시작
ㅇ 캄 보건부는 보도자료(1.8)를 통해 1.14부터 공무원, 최전선 의료종사자, 군인, 고령자, 대사관 직원, 국제기구 종사자, 언론인 등 우선 대상 그룹에 대한 코로나19 백신 4차 접종을 시작할 예정이라고 발표함.
(Khmer Times 1/10, 5면)(Phnom Penh Post 7면)
■. 훈 센 총리, 백신 추가접종 신속 진행 촉구
ㅇ 훈 센 총리는 1.10(월) 오미크론 변이바이러스의 지역사회 감염이 발견되고 있다고 말하고 보건부와 관련당국이 코로나19 백신의 추가 접종을 신속하게 추진할 것을 촉구하면서, 현재 정부는 1천만 도스 이상의 백신을 비축하고 있으며 부스터샷 접종을 위해 백신 500만 도스를 추가로 주문한 상태라고 말함.
– 또한, 1.23 아랍에미리트(두바이) 방문을 앞두고 1.14(금) 4차 백신 접종을 받을 예정이라고 밝힘.
(Phnom Penh Post 1/11, 6면)
■. 캄 정부, ‘백신 접종 가속화 및 방역 수칙 강화에 관한 지침’ 발표
ㅇ 캄보디아 정부는 1.11(화) 오미크론 변이바이러스 환자의 지역사회 발생 관련‘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백신 기본·추가 접종 및 방역수칙 이행 강화에 관한 지침(총리령)’ 발표를 통해, 프놈펜시와 각 지방정부는 코로나19 예방 백신 접종을 가속화하고, 마스크 착용 등과 같은 방역 수칙 준수 여부에 대해 엄중히 단속할 것을 지시함.
– 1.10(월) 기준 오미크론 누적 확진 총 217명(해외 유입 203명, 국내 확진 14명)
– 이와 관련, 프놈펜시는 1.12(수) 프놈펜시민들을 대상으로 백신 기본 및 추가 접종을 가속화하고 백신 접종의 유효기간이 초과한 사람들에 대해서는 대중시설 이용을 금지하도록 하는 등의 ‘백신 접종 가속화 및 방역 수칙 강화에 관한 지침’을 별도 발표함.
(Khmer Times 1/12, 1면)
■. 백신 접종 통계
ㅇ 1.13(목) 기준 누적 코로나19 백신 접종자수 : 14,301,532명
– 전체 인구 16백만 명 기준 접종률 : 89.38%
※ 18세 이상 약 10백만 명 기준 접종률 : 101.72%)
※ 12-17세 약 2백만 명 기준 접종률 : 99.26%)
※ 6-11세 약 1.9백만 명 기준 접종률 : 105.54%)
※ 5세 약 30만 명 기준 접종률 :102.88%)
(보건부 SNS 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