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3, 2022
2022년 캄보디아 주간(1.15-1.21) 경제 동향
[경제]
■. 2021. 1-10월, 봉제부문 수출 전년 대비 13% 증가
ㅇ 2021.1-10월간 캄보디아의 봉제부문(의류, 신발, 여행용품) 수출액은 약 88.30억 달러*로, 전년 동기의 77.96억 달러 대비 13% 증가함. (출처: 캄보디아봉제공장협회(GMAC))
* 품목별 : 의류 – 65.38억달러(6% 증가), 신발 – 11.13억달러(20% 증가), 여행용품 – 11.79억 달러(49% 증가)
※ 2021년 동 부문 총 수출액은 약 100억 달러로 캄보디아 전체 수출의 63% 차지
※ 2021년 말 기준, 공식 등록된 봉제공장의 수는 약 1,200개, 약 1백만 명이 종사
(Phnom Penh Post 1/17, 1면 )
■. 2021년 한-캄 교역액 약 9.65억 달러
ㅇ 한국무역협회(Kita)의 통계에 의하면, 2021년 한-캄 교역액은 약 9.65억 달러로 2020년의 8.85억 달러 대비 9.015% 증가함.
– 캄보디아의 한국 수출은 3.42억 달러로 전년 대비 7.353% 증가, 수입은 6.24억 달러로 9.95% 증가
(Phnom Penh Post 1/18, 8면)
■. 2021년 카사바 수출 약 22% 증가
ㅇ 캄보디아는 2021년 약 279만톤의 카사바 및 관련 가공품*을 수출하였으며, 이는 2020년 대비 약 22.1%가 증가한 수치임.(캄 농림수산부 통계 1.13)
* 건조 카사바(164만톤), 생 카사바(110만톤), 전분(36만톤)
– 주요 수출국 : 베트남(138만톤), 태국(130만톤), 중국(20.3만톤), 그 외 이탈리아, 벨기에, 미국 등
(Phnom Penh Post 1/18, 8면)
■. 캄 법무부, 돈세탁 방지위한 테스크포스 창설
ㅇ 캄 법무부는 까읏 릇 법무부 장관을 수장으로 28명의 위원으로 구성된 ‘대량살상무기 ·테러리즘 확산을 위한 자금조달 및 돈세탁 방지를 위한 테스크포스’ 창설(1.18)을 발표함.
(Phnom Penh Post 1/20, 4면)
■. 2021년 망고수출 전년 대비 146% 증가
ㅇ 2021년 캄보디아는 약 26.5만톤의 신선망고 및 망고 가공제품을 수출하였으며, 이는 2020년 대비 146.3%가 증가한 수치임. (캄 농림수산부 통계)
– 최대 수출시장은 베트남으로 약 20만톤 수출
– 신선망고 주요 수출국 : 베트남, 태국, 중국, 한국, 홍콩, 싱가포르
– 건망고 주요 수출국 : 중국(1.4만톤), 태국, 필리핀, 베트남, 일본
(Phnom Penh Post 1/20, 8면)
[대외 협력]
■. 러시아, 학교급식 부문 280만 달러 지원
ㅇ 주캄 러시아 대사관은 1.18(화) 러시아 정부는 유엔세계식량계획(WFP)을 통해 지속가능한 학교 급식 시스템 개발 사업을 위해 캄보디아에 280만 달러를 지원했다고 발표함.
(Khmer Times 1/19, 2면)
■. WB ·IDA, 교육 부문에 약 69백만 달러 지원
ㅇ 월드뱅크(WB)와 국제개발협회(IDA)는 캄보디아의 기초교육에 대한 공정한 접근성을 개선하고 교육시스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기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한 69.25백만 달러의 지원금*을 승인함.
* IDA를 통해 6천만 달러의 신용 대출을, ‘교육을 위한 글로벌 파트너십(GPE, Global partnership for Education)을 통해 925만 달러의 무상 지원을 제공
(Phnom Penh Post 1/20, 2면)(Khmer Times 12면)
■. 일본, 소아과 및 초등학교 설립에 72.85만 달러 지원
ㅇ 일본 정부는 ‘일본 NGO 사업을 위한 무상 지원 프로그램’에 따라 끄라체주, 깜뽕참주, 바탐방주의 소아외과, 아동 돌봄 및 지원 네트워크 강화, 초등학교 건립 사업을 위해 3개 기관에 약 72.85만 달러를 지원하는 협약을 체결함.
(Khmer Times 1/20, 7면)
■. 일본, 캄보디아의 수자원개발 부문 지원 논의
ㅇ 미카미 마사히로(Mikami Masahiro) 주캄 일본대사와 카메이 하루코(Kamei Haruko)JICA 수석 대표는 1.20(목) 름 끼은 하오(Lim Kean HOr) 수자원기상부 장관과 면담을 갖고, 수자원 기상 분야에서의 일본의 대캄 지원에 대해 논의함.
– 일본은 2005년부터 JICA를 통해 캄보디아의 수자원 개발 및 관리부문에 유·무상원조를 제공
– 이달 초, JICA와 수자원기상부는 캄보디아의 관개시스템 개선을 위한 ‘국가관개표준개발 4개년 사업’에 관한 협약 체결
(Khmer Times 1/21, 6면)
■. 아세안 10개국 관광장관, 역내 관광부문 재개 선언
ㅇ 시하누크빌주에서 개최(1.16-22)된 제40차 아세안관광포럼 2022 (ATF 2022)계기, 1.19(수) 아세안 관광장관들은 역내 관광부문의 재개를 공식 발표하고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이를 이행하기 위한 주요 원칙들에 대해 논의함.
– 캄 관광부는 1.20(목) 성명발표를 통해, “관광부문의 재개는 아세안의 사회·경제 회복을 위한 비전에 부합한 조치”라고 밝힘.
(Phnom Penh Post 1/21, 8면)
[코로나19 동향]
■. 확진 및 사망 통계
ㅇ 7일(1.15-1.21)간
– 신규 확진 : 총 228명(PCR 검사 기준, 전체 오미크론 확진)
※ 해외 유입 : 182명
– 사망 : 0명
ㅇ 1.21(금) 07:00 기준
– 누적 확진 : 120,956명(해외 유입 20,220명)
– 사망 : 3,015명
■. 백신 접종 통계
ㅇ 1.20(목) 기준 누적 코로나19 백신 접종자수 : 14,326,513명
– 전체 인구 16백만 명 기준 접종률 : 89.54%
※ 18세 이상 약 10백만 명 기준 접종률 : 101.86%)
※ 12-17세 약 2백만 명 기준 접종률 : 99.37%)
※ 6-11세 약 1.9백만 명 기준 접종률 : 105.73%)
※ 5세 약 30만 명 기준 접종률 :104.54%)
(보건부 SNS 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