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사관-캄보디아 경제 동향 (12.11-12.17)

경제/사회]

■. 프놈펜-시하누크빌 고속도로 약 70% 완공

ㅇ 공공사업운송부는 12.12(일) 프놈펜-시하누크빌간 고속도로* 건설 현장을 시찰하고, 동 도로 건설이 11월말 기준 70.93% 완공되었다고 밝힘.
* 2019.7월 착공. 2023년 중반 완공 예정. 예산 : 20.1억 달러, 시공사 : China Road and Bridge Corporate의 자회사인 PPSHV Expressway Co. Ltd
(Khmer Times 12/13,13면)

■. PPAP, 1-11월간 수익 14% 증가

ㅇ 프놈펜자치항(PPAP)은 올해 1-11월간 수익이 약 3천만 달러로 작년 대비 약 14% 증가했다고 발표함.
– 동기간 누적 컨테이너 처리량은 작년 대비 19.39% 증가한 315,692TEU를 기록
– Sin Chanthy 캄보디아물류협회(CKLA) 회장은 코로나19 관련 높은 운송 비용 및 컨테이너 부족 문제가 점진적으로 회복되고 있다고 말함.
(Phnom Penh Post 12/13, 6면)

■. 1-11월, SSEZ 수출입 작년 대비 40% 증가

ㅇ ‘시하누크빌 경제특구(SSEZ)’ 운영사의 발표에 의하면 올해 1-11월간 SSEZ를 통한 수출입액은 약 20억 달러로 작년 동기의 14.29억 달러 대비 40% 증가함.

– 2020년 SSEZ의 수출입 처리규모는 2019년 대비 26.52% 증가한 15.65억 달러
※ 캄보디아개발위원회(CDC)에 의하면 현재 캄보디아내 전체 경제특구의 수는 총 39개
(Phnom Penh Post 12/14, 1면)

■. 캄 정부, 중소기업에 저리 대출 추가 지원

ㅇ 판 팔라(Phan Phalla) 재경부 차관은 12.14(화) 기자회견을 통해, 중소기업의 코로나19 위기 대응을 위해 캄 정부가 지금까지 지원한 약 2억 달러 이외에 내년도 중소기업(SMEs)의 뉴노멀을 지원하기 위해 국영은행인 ‘중소기업은행(SME Bank)’과 ‘농업·농촌개발은행(ARDB)’으로부터 2.5억 달러의 직접 대출금액을 추가적으로 책정했다고 발표함.
※ 7개 우선 순위 부문의 중소기업 대상 6.5% 이자율, 기타 중소기업 대상 7.5% 이자율, 여성 기업주 기업 대상 5.5% 이자율 적용
(Phnom Penh Post 12/15, 1면)

■. 1-11월, 캄 정부 세수 25.6억 달러

ㅇ 세금총국(GDT)의 발표(12.13)에 의하면 올해 1-11월간 캄 정부의 총 세수는 작년 동기 대비 14.13% 증가한 25.6억 달러로, 이는 ‘2021 재무관리법’에 책정된 목표액 22.43억 달러의 114.13%에 해당하는 액수임.
(Phnom Penh Post 12/15, 6면)

■. 캄 정부, 취약층 대상 코로나19 재난 지원금 누적액 약 4.7억 달러

ㅇ 봉 솟(Vong Sauth) 사회부 장관은 ‘국가 캄보디아 아동 위원회’ 연례 회의에서, 정부가 2020.6.24.부터 지금까지 취약가구를 위해 현금으로 지급한 코로나19 재난 지원금의 총액은 약 4.7억 달러라고 밝힘.
(Khmer Times 12/16, 5면)

■. 봉제부문 수출 작년 대비 증가

ㅇ 깡 모니카 캄보디아봉제공장협회(GMAC) 부사무총장은 올해 1-9월간 의류·신발·여행용품 수출이 전년 대비 각각 5%·15%·30% 증가했다고 밝힘(12.16).
– 상무부의 통계에 의하면, 2020년 의류·신발·여행용품의 수출은 약 95.17억불로 2019년의 106.98억 달러 대비 10.44% 감소
(Phnom Penh Post 12/17, 1면)

[대외 협력]

■ 일본, ‘항구 전자문서교환시스템’구축에 12.2백만 달러 지원

ㅇ 캄 공공사업운송부와 JICA는 12.15(수) 일본정부가 12.2백만 달러를 지원하여 구축하는 ‘항구 전자문서교환시스템(Port EDI)’의 인수식을 개최함.

– 동 사업은 현재 80% 완료되었으며, 시스템은 내년 8.1부터 가동될 예정
(Khmer Times 12/16, 6면)

[코로나19 동향]

■. 확진 및 사망 통계

ㅇ 1주(12.11-12.17)간
– 신규 확진 :  1일 평균 11명 (PCR 검사 기준)
※ 해외 유입 평균 0.57명
–      사망 : 1일 평균 3.3명

ㅇ 12.17(금) 07:00 기준
– 누적 확진 : 120,405명(해외 유입 19,854명)
–      사망 :   3,001명

■. 백신 공급 현황

ㅇ 현재까지 캄보디아가 공여국 · 코백스의 지원 및 구매를 통해 공급받은 백신의 총량은 약 4천만 도스(출처: 캄 보건부)임.

– 이 중, 12.13 코백스로부터 제공받은 시노백 백신 약 30만회분 포함 현재까지 코백스가 캄보디아에 제공한 누적 공급량은 약 400만 도스. 코백스가 캄보디아에 1단계로 공급하기로 한 전체 물량의 수는 660만 도스임.
(Khmer Times 12/14, 4면)

■. 첫 오미크론 변이바이러스 환자 발생

ㅇ 캄 보건부는 12.14(화) 가나에서 출발하여 두바이-태국을 경유한 후 캄보디아에 입국한 캄보디아인 여성(23세)이 오미크론 변이바이러스에 감염되었다고 발표함.
(Fresh News 12/15)

■. 훈 센 총리, “오미크론 변이바이라스 감염 관련 국가 봉쇄 없을 것”

ㅇ 훈 센 총리는 12.15(수)*캄보디아에서 오미크론 변이바이러스 감염 사례가 1건 발생했으나 이것이 국가 봉쇄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하는 한편, 내년 1월부터 12-17세 사이 청소년 대상 코로나19 백신 추가 접종 캠페인이 시작될 것이라고 밝힘.
* 하얏트 레전시 프놈펜 호텔 준공식 연설 중
(Khmer Times 12/16, 3면)

■. 일본,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30만 도스 추가 지원

ㅇ 일본 정부는 캄 정부에 이미 제공한 코로나19 백신 1백만 도스에 이어 추가로 기증하는 30만 도스의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 12.19 프놈펜으로 배송될 예정이라고 발표함.

– 지금까지 일본정부의 코로나19 팬데믹 관련 대캄 지원액은 총 6천만 달러 상당으로 의료품, 의료장비, 병원 개보수, 국경에서의 감염예방조치 지원, 백신 운송을 위한 장비 제공 등이 포함됨(출처: 주캄 일본대사관 보도자료 12.16).
(Phnom Penh Post 12/17, 1면)

■. 백신 접종 통계

ㅇ 12.16(목) 밤 기준 누적 코로나19 백신 접종자수 : 14,220,067명

– 전체 인구수 16백만 명 기준 접종률 : 88.88%
※ 18세 이상 약 10백만 명 기준 접종률 : 101.28%)
※ 12-17세   약 2백만 명 기준 접종률 : 98.97%)
※  6-11세   약 1.9백만 명 기준 접종률 : 104.95%)
※     5세   약 30만 명 기준 접종률 : 96.05%)
(보건부 SNS 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