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15, 2023
2023년 캄보디아 주간(2.11-2.17) 경제 동향
[경제/사회]2023년 캄보디아 주간(2.11-2.17)
■ 2022년 캄보디아의 대美 총수출 122억 달러
ㅇ 미국 통계국의 발표(2.12)에 의하면, 2022년 캄보디아의 대美 연간 총 수출은 2021년 대비 40%증가한 122억 달러임.
– 캄보디아의 대美 수입은 전년 대비 8% 증가한 4.5억 달러(캄보디아의 대美 무역흑자 : 약 109억 달러)
– 주요 수출품 : (무역특혜대상 품목) 의류, 신발, 자전거, 가구, 여행용품
주요 수입품 : 자동차, 기계. 전기·전자 제품
※ 미국이 저개발국에 제공하는 GSP(일반 특혜관세) 지위는 2022년말 만료되어 현재 갱신 진행 중.
(Khmer Times 2/13,14면)
■ 캄보디아, 중국위안화 국제결제시스템(CIPS) 참여 검토
ㅇ Chea Serey 캄 중앙은행 총괄국장은 훈 센 총리의 중국 방문 이후 가진 관련 기자회견에서 중앙은행(NBC)은 캄-중 양자무역, 투자 및 관광부문 촉진을 위해 중국위안화(RMB) 국제결제시스템(CIPS, Cross Border Inter bank Payment System)에 가입하는 것을 검토 중이라고 밝힘.
– Chea 국장은 NBC가 2015년 CIPS 시스템이 최초 출범한 이후 CIPS 회원의 자격요건을 면밀히 연구해왔으며, 양국 정상이 캄보디아의 CIPS 회원가입에 원칙적으로 합의했는 바, 가입이 가속화할 것이라고 말함.
(Phnom Penh Post 2/15, 1면)
■ 1월 봉제·여행상품 수출 작년 동월 대비 28% 이상 감소
ㅇ 캄 관세청의 발표에 의하면 올해 1월 캄보디아의 의류·신발·여행(GFT) 부문 상품의 수출액은 7.82억 달러*로 작년 동월의 10.8억 달러 대비 약 28% 감소함.
* 올해 1월 캄보디아 전체 수출액 15억 달러의 50% 이상 차지
– 업계에서는 GFT 부문의 수출감소가 향후 몇 달간 계속될 것이며 하반기에 회복될 것으로 전망
(Khmer Times 2/15, 1면)
■ 캄보디아쌀연맹, 2023년 對 유럽 쌀수출 증가 전망
ㅇ 짠 소키응 캄보디아쌀연맹(CRF) 회장은 올해 1월 캄보디아의 對 유럽 쌀(도정미)수출이 전체 쌀수출의 약 48%(17,795톤, 13.44백만 달러) 차지했으며, 이를 기반으로 올해 캄보디아산 쌀의 對 EU 수출이 35-40%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힘.
– 유럽 국가들 중 캄보디아산 쌀 최대수입 국가는 프랑스(6170톤)이며 다음으로 네덜란드, 체코, 영국, 스페인, 독일, 이탈리아, 포르투칼, 그리스 순
– 유럽 국가 다음으로 중국(홍콩, 마카오 포함)이 15,045톤의 캄보디아 산 쌀을 수입하여 전체 캄보디아 쌀 수출의 41%(11.50백만 달러)를 차지
– 1월 캄보디아의 전체 도정미 수출량은 36,900톤 약 28,83백만 달러 상당
(Khmer Times 2/16, 14면)
■ 2022년 2개 자치항 수익 총 1.26억 달러
ㅇ 공공사업교통부(MPWT)의 집계에 의하면 2022년 시하누크빌자치항(PAS)과 프놈펜자치항(PPAP) 두 곳의 국영 항만의 총 수익은 1.26억 달러임.
– 2022년 PAS와 PPAP의 총수익은 각각 86백만 달러와 40백만 달러로 전년 대비 각각 2.45%, 17% 증가. 화물처리량은 PAS와 PPAP가 각각 530만톤과 420만톤으로 전년 대비 각각 1.29%, 9% 증가
– 쑨 짠톨 MPWT 장관은 의류제품 및 농산물 수출의 증가가 항만 수익 증가의 주요 요인이라고 말함.
(Khmer Times 2/16, 14면)
■ 4월부터 발효되는 영국의 무역특혜제도에 캄보디아 포함
ㅇ 올해 4월부터 발효예정인 영국의 ‘개발대상국 무역제도(Developing Countries Trading Scheme, DCTS)*’수혜국에 캄보디아도 포함됨으로써 캄-UK간 무역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됨.
* GSP LDC(최빈개도국) 수혜국인 47개국과 월드뱅크에서 저소득(LIC) 및 중저소득(LMIC)국으로 분류한 국가 추가 총 수혜국은 65개국이며, 관세 인하 및 원산지 규정간소화 등의 개선사항이 포함
– 2022년 캄-UK간 양자교역액은 9.77억 달러로 전년 대비 23.9% 증가. 캄의 대UK 수출은 21.1% 증가한 8.86억 달러, 수입은 60.2% 증가한 91백만 달러(캄은 7.95억 달러의 무역흑자 기록)
(Khmer Times 2/16,15면)
■ 국제금융공사, 프놈펜물류단지 개발위한 협력계약 체결
ㅇ 월드뱅크 그룹 산하 국제금융공사(IFC)는 2.16(목) 프놈펜물류단지(PPLC)*를 남동부지역의 ‘스마트물류허브’로 개발하기 위해 현지 WorldBridge 그룹 및 싱가포르의 YCH 그룹과 협력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함.
* 프놈펜국제공항 서쪽에 소재한 덩까오(Dangkor)지역의 섬롱 끄라옴(Samrong Krom) 마을 내 98헥타 부지에 조성 예정
– IFC는 보도자료에서 “아시아 최고의 물류대기업인 YCH그룹과 캄보디아 최대물류제공업체인 WorldBridge그룹 간의 합작투자회사인 PPLC Support and Industrial Co. Ltd가 개발에 참여하는 프로젝트로 완공될 경우 국내 최초의 완전한 복합 물류시설이 될 것”이라고 말함.
(Phnom Penh Post 2/17, 1면)
■ 깜뽕짬주, ‘지뢰없는 지역’ 선포
ㅇ 캄보디아지뢰활동 및 피해자지원국(CMAA)은 2.16(목) 깜뽕짬州를 ‘지뢰없는 지역’으로 선포함.
– 현재까지 ‘지뢰없는 지역’으로 선포된 시/주는 프놈펜시, 시하누크빌주, 스뜽뜨렝주, 쁘레이웽주, 깜뽕짬주
– 작년 12월 훈 센 총리는 ‘2025년 지뢰없는 캄보디아’ 목표달성을 촉진하기 위해 경제재정부 산하‘캄보디아 지뢰활동기금 2025’를 설립하고 국가예산에서 3천만 달러를 지원하면서 민간 부문에 지뢰제거 예산 지원을 요청함.
(Khmer Times 2/17, 7면)
■ 시하누크빌주, 중단된 건설 사업 활성화 방안 마련 중
ㅇ 꾸읏 쩜라은 쁘레야 시하누쿠빌 주지사는 시하누크빌에는 1,006개의 고층건물이 있으며 이 중 359개는 코로나19 팬데믹과 불법도박 단속의 영향으로 건설이 중단된 채 버려진 건물이라고 밝히는 한편, 최근 합법적인 투자자들이 다시 시하누크빌로 돌아오면서 일부 건설프로젝트들이 재개하고 있다고 말함.
– 또한, “버려진 건물들이 신규투자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바, 훈 센 총리의 지시에 따라 온 뽄모니로앗 경제재정부 장관이 당국과 함께 문제 처리를 위한 특별위원회를 구성했으며, 위원회를 통해 중단된 건설프로젝트를 활성화하기 위한 전략을 마련하고 현재 훈 센 총리의 재가를 기다리고 있다“고 말함.
(Khmer Times 2/17, 8면)(Phnom Penh Post 7면)
■ 온 뽄모니로앗 재경부 장관, 인프라 건설사업 지연되지 않도록 촉구
ㅇ 온 뽄모니로앗 경제재정부 장관은 2.16(목) ‘2022년 업무결산 및 2023년 방향 검토’에 관한 연례회의 폐막식에서 일부 인프라 건설 사업의지연에 대해 우려를 표하고 2번 및 22번 국도를 예로 들면서 공공사업 교통부에게 특히 도로건설 사업은 캄보디아의 경제성장에 필수요소인 점을 강조하고 인프라 건설사업이 차질없이 진행되도록 촉구하는 한편, 프놈펜-뽀이뻿(캄-태국경도시)간 철도건설 및 고속도로 건설사업에 관한 보고서를 제출할 것을 요청함.
(Phnom Penh Post 2/17, 1면)
■ 쑨 짠톨 교통부장관, 프놈펜-씨엠립간 고속도로 타당성 조사 가속화 촉구
ㅇ 쑨 짠톨 공공사업교통부 장관은 2.15-16 교통부의 2022년 업무결산 및 2023년 방향 검토“에 관한 연례회의 개막식(2.15)에서 올해 3분기말까지 프놈펜-씨엠립주간 고속도로 건설사업의 계약 체결을 위해 현재 동구간에 대한 타당성 조사를 진행 중인 업체들이 조사를 가속화해 줄 것을 요청함.
– 교통부는 4개 회사가 동 구간 고속도로 건설에 대한 타당성 조사를 수행중이라고 보고한 바 있음.
– 캄 정부는 올해 말 프놈펜-바벳(캄-베 국경도시)간 고속도로도 착공할 예정임.
(Phnom Penh Post 2/17, 6면)
[코로나19 동향]
■ 신규 확진 및 사망
ㅇ 7일(2.11.-2.17)간
– 신규 확진 : 총 3명
해외 유입 0명
– 사망 : 0명
ㅇ 2023.2.17.(금) 오전 기준
– 누적 확진 : 138,706명(해외유입 21,244명)
– 누적 완치 : 135,647명
– 누적 사망 : 3,056명
(캄 보건부 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