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22, 2022
2022년 캄보디아 주간(8.13-8.19) 경제 동향
[경제]
■. Mitsui 은행-ACLEDA 은행 파트너십 체결 10주년
ㅇ 일본의 ‘미츠이 스미토모(Mitsui Sumitomo)은행(SMBC)’과 현지 은행인 ACLEDA 은행은 8.12 두 은행간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10주년 기념식 행사를 개최함.
– 두 은행은 2012.8.12. 사업협력에 관한 양해각서를 체결, 2014년 8월 SMBC는 지분 12.25%를 인수, 2015년 8월 지분을 18.25%까지 추가 인수. 올해 5월 JICA와 SMBC 싱가포르 지부는 캄보디아의 농업 부문에 대출을 제공하기 위해 ACLEDA와 1.35억 달러규모의 계약을 체결
※ 올해 3월말 기준 ACLEDA는 총 자산 82억 달러로 캄보디아 내에서 가장 큰 상업은행이며, 총 신용 포트폴리오는 58억 달러, 총 예금은 59억 달러, 이용 고객 수 약 344만 명
(Phnom Penh Post 8/15, 6면)
■. 1-7월 캄-싱가포르 양자교역 작년 대비 약 27% 감소
ㅇ 캄 관세총국(GDCE)의 집계에 의하면, 1-7월간 캄-싱가포르간 양자교역액은 26.08억 달러로 작년 동기의 35.95억 달러 대비 27.46% 감소함.
– 캄보디아의 수출은 68.44백만 달러로 작년 대비 30.68% 감소, 수입은 25.40억 달러로 27.37% 감소
– 싱가포르는 중국, 미국, 베트남, 미국에 이어 캄보디아의 5대 교역국
– 2021년 캄-싱가포르 양자교역액은 52.17억 달러로 2020년 대비 49.53% 증가. 캄보디아의 수출은 1.20억 달러로 95.21% 감소, 수입은 50.97억 달러로 416.95% 증가
※ 1994년 캄보디아개발위원회(CDC)창설 이후 2022년 6월말 기준 싱가포르 기업의 대캄 투자사업 승인건은 총 127건(15.3억 달러)
(Phnom Penh Post 8/16, 6면)
■. 1-7월 캐슈넛 수출 작년 대비 약 35% 감소
ㅇ 캄보디아 캐슈넛 협회(CAC)의 통계에 의하면, 올해 1-7월 캄보디아는 10.77억 상당 약 66만톤의 생캐슈넛을 베트남으로 수출했으며, 이는 작년 동기 대비 34.65%가 감소한 수치임.
– 우은 실롯 CAC 회장은 “캐슈넛은 건조하고 더울수록 수확량과 품질이 좋은데 올해는 강우량이 많았고, 또한 비료가격 및 운송비용 상승, 투자 자본금 부족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고 밝힘. 한편, “향후 캐슈넛 수출로 인한 수입이 쌀, 카사바, 고무와 같은 작물의 수출 수입을 능가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하고, ”현재 캄보디아는 국제기준에 부합하는 가공시설의 부족으로 인해 생산되는 캐슈넛의 약 95%가 베트남으로 수출되고 있다“고 밝힘.
– 2021년 캄보디아의 캐슈넛 총수출 : 약 93.8만톤(16억 달러)으로 2020년 대비 톤수 기준 328.34%, 금액 기준 233.32% 증가
(Phnom Penh Post 8/16, 1면)
■. 다음달(9.23) 2023년 봉제근로자 최저 임금 최종 결정
ㅇ 캄 노동부는 8.15일 노·사·정 대표에 의한 내년도 봉제근로자 최저 임금 결정을 위한 1차 회의를 개최한 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여섯 차례 회의를 통해 협의하고 9.23 최종 결정할 예정이라고 발표함.
※ 2022년 봉제근로자 최저 임금 $194
– 깡 모니까 캄보디아봉제공장협회(GMAC) 사무차장은 일본대외무역기구(JETRO)의 통계를 인용하여, “2021년 캄보디아 기업 중 이익을 낸 기업은 39%, 적자를 낸 기업은 43%, 나머지 18%는 손익분기점을 유지했다”고 언급
(Phnom Penh Post 8/16, 3면)
■. 1-7월 세수 약 29% 증가
ㅇ 캄 세금총국(GDT)의 발표(8.15)에 의하면, 1-7월간 GDT의 세수(관세 제외)는 약 22.1억 달러로 작년 동기 대비 28.6% 증가했으며, 이는 2022년 연간 목표액 28.20억 달러의 78.39%에 해당함.
– 꽁 비볼 GDT 청장은 지정학적 이슈와 글로벌 안보·세계경제 상황의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올해 7월까지 연속 31개월간 세수관리가 잘 유지되고 있다고 말함.
※ 2021년 GDT의 세수는 27.82억 달러로 연간 목표액 22.43억 달러를 초과 달성함.
(Khmer Times, Phnom Penh Post 8/17, 1면)
■. 캄 국토부, 도시인구 2030년까지 전체 인구의 44% 전망
ㅇ 국토관리도시개발건설부의 Pen Sophal 차관은 서울시립대와의 협력으로 추진한 프놈펜왕립대학(RUPP)내 ‘지속가능 도시계획개발학과’개설행사에서, 2018년 약 613만 명(전체 인구의 39.5%)이었던 캄보디아의 도시인구가 2023년 약 792만 명으로 증가하여 전체 인구의 44%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힘.
– 또한, 2014년 기준 도시 또는 시내(town) 거주인구는 약 450만 명 또는 27.1%의 비율이며, 15년(2015-2030년)간 연평균 주택 수요는 5만 가구로 추산된다고 말함. 한편, 도시가 국내총생산(GDP)의 약 50%를 차지한다고 발표
(Khmer Times 8/17, 1면)
■. 1-7월 캄-미 교역 58.92억 달러로 작년 대비 45% 증가
ㅇ 캄 관세총국에 의하면 올해 1-7월간 캄-美 양자무역액은 58.92억 달러로 작년 동기 대비 45% 증가함.
– 동기간 캄보디아의 대미 수출액은 56.95억 달러로 작년 대비 47% 증가, 수입액은 1.96억 달러로 3% 증가
– 주요 수출품 : 의류, 신발, 여행용품, 농산물
주요 수입품 : 자동차, 사료, 기계류
※ 2021년 캄보디아의 대미 총수출은 87억 달러로 2020년 대비 33% 증가
(Khmer Times 8/19, 14면)
■. 캄보디아산 자전거의 대 EU 시장 수출 관련
ㅇ 헹 속꽁(Heng Sokkhung) 산업과학기술혁신부 차관은 8.18(목) ‘캄보디아산 자전거의 대 EU 시장 수출’에 관한 언론인터뷰를 통해, 올해 상반기 캄보디아는 작년 동기 대비 144% 증가한 총 5.05억 달러상당의 자전거를 수출하였으며, EU에서 판매되는 전체 자전거의 24%를 캄보디아산 자전거가 차지하고 있다고 말함.
– 빠엔 소비찌읏(Penn Sovicheat) 상무부 차관보는 EBA(Everything But Arms) 특혜가 EU시장에서 캄보디아를 최대 자전거 공급국으로 만드는 요인이며, 품질면에서도 우수하다고 평가되고 있다고 말함.
– 속꽁 차관은 전국의 자전거 조립·자전거 부품 생산공장은 총 13곳, 1.12억 달러 규모이며 13개 공장 모두 중국투자라고 밝힘.
(Khmer Times 8/19, 15면)
■. 1-7월 대日 수출 6.68억 달러로 작년 대비 12% 증가
ㅇ 올해 1-7월간 캄보디아의 대日 수출액은 6.68억 달러로 작년 동기(5.98억) 대비 11.75% 증가, 수입액은 4.7억 달러로 작년 동기(38.1억 달러) 대비 23.1% 증가함.
– 동기간 캄-일 양자교역액은 11.38억 달러로 작년 동기의 9.79억 달러 대비 16.18% 증가.
– 주요 수출품 : 의류, 신발, 농산물, 일반 부품
주요 수입품 : 농산품, 기계류, 자동차, 전자제품
(Phnom Penn Post 8/19, 6면)
[대외 협력]
■. RUPP-서울시립대 협력‘도시계획개발학과’ 개설
ㅇ 프놈펜왕립대학(RUPP)은 8.16(화) 서울시립대와의 협력*으로 추진한 ‘지속가능 도시계획 개발학과(DSUPD)’의 개설행사를 한-캄협력센터(CKCC)에서 개최함.
* 2021년 4월부터 사업추진을 위해 협력하였으며, 올해 5.25 캄보디아 교육부로부터 학과 설립을 승인받음.
– 보도자료에 의하면, DSUPD는 최첨단 교육프로그램을 통한 도시계획분야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하며, 40명의 신입생을 대부분 장학생으로 선발할 예정임.
(Phnom Penh Post 8/17, 7면)
■. 캄-중, ‘현대식 농업발전을 위한 마스터플랜’ 준비 추진
ㅇ 캄 농림수산업부와 중국 농업농촌부는 도정미, 옥수수, 고무, 카사바, 바나나, 캐슈넛, 망고 등 주요 잠재적 농산물의 현황을 추적· 모니터링· 평가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캄보디아의 현대식농업발전을 위한 마스터플랜’준비를 위한 공동실무그룹을 창설하는 것에 합의함.
– 중국 농업농촌부 산하 대외경제협력센터의 Zhang Lubiao 국장은 8.18(목) 웽 사콘 농업부 장관과의 회의에서 “동 마스터플랜 개발을 지원함으로써 캄-중 양국간 농업 부문 협력을 확대·강화해 나가는 것이 목표”라고 하고, 동 작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중국 전문가팀을 구성했다고 말함.
– 웽 사콘 장관은 양국 부처가 2018.1.11. 동 계획을 준비하기 위한 협정에 서명했으며, 같은 해 8월부터 관련연구에 착수했다고 말하고, “올해 8월말부터 10월말까지 일부 대상지역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며, 금번 회의에서 재정지원을 통한 정책의 실질적 이행에 대한 노력을 계속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힘.
(Khmer Times 8/19, 1면)(Phnom Penh Post 4면)
[코로나19 동향]